pxd XE Blog 오픈소스 License에 대해 알아보기
스팸 게시물이 확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구 및 사용 제한기간을상세하게 안내해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모두가 행복한 인터넷문화를 만들기 위한 네이버의 노력이오니 회원님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이용자 분들이 홍보성 도배, 스팸 게시물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경우 해당 게시물 등록이 일시적으로 제한됩니다.
주제를 선택해 주세요.
-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으며, 상업적 사용도 허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License에 관한 다양한 문서들을 접하다 보면 라이센스, 라이선스라는 단어들이 혼용되어 있습니다.
- DSP 소프트웨어는 배송 서비스 파트너 (Delivery Service Partner)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가리킵니다.
- BSD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MIT 라이센스는 가장 간단하고 자유로운 라이센스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하지만 독립적 (명령행인자, 파이프, 소켓 통신 등)으로 연동하면 공개 의무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Apache HTTP Server와 같은 주요 프로젝트가 이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 개발자가 되고나니 특히 오픈소스를 활용할 일들이 많아지네요. 그런데 각 오픈소스마다 제각각인 라이센스 문제로 골머리리 함 정리해 봅니다. Gpt 포멧 그대로 유지하고 몇 가지만 추가 수정했습니다.
GPL은 코드의 자유로운 공유와 협업을 장려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GPL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Linux 커널이 GPL 라이센스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오픈소스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배포 시 소스코드 제공의무 여부입니다. 그리고 이 소스를 사용해서 다른 소스와 조합하여 2차 라이선스를 부여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제약 사항의 강도가 달라집니다.
‚개발관련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주시길 바랍니다. BSD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MIT 라이센스는 가장 간단하고 자유로운 라이센스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난번 제가 작성한 글에 이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와 주요 라이센스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그렇다면 라이센스 특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윈도우 11 설치 USB를 만들기 위해서는 간략하게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S 오피스의 영구 버전 / 구독 버전 기업용 / 가정용 차이 및 구매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대규모 조직이라면 Microsoft 365 Enterprise를 통해 Windows 11 Pro 및 추가 기능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다 같은 오픈소스라고 해서 가져다 쓰고 이를 상업적 및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단일 사용자 라이센스 키는 하나의 개인 또는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웨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합법적인 권한을 나타내는 특별한 코드나 번호입니다. 이 키는 보통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때 제공되며,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활성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내가 GPL 라이선스의 오픈소스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배포했다면 내 프로그램의 소스코드 전체를 공개해야 한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상업적 목적이고, 프로그램 자체가 경쟁력을 갖춘다면 GPL 라이선스의 오픈소스를 사용할 때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면서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법적 허가를 의미하게 되었죠. 그런데 자세하게 설명을 하려고 하면 쉽지 않은게 사실이라 할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윈도우 설치 후 필수 프로그램으로 백신을 비롯해 설치할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기본 프로그램을 윈도우에서 제공하게 되면서 진짜 ‘필수’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종종 자동 설치가 안되는 드라이버 정도가 되었다. 일반 소비자라면 FPP 또는 ESD 라이센스를 구입해 이용하거나, 제조업체에서 설치해서 출고하는 OEM 방식의 인증을 사용하게 되고, PC방 및 관공서, 기업 등에서 다수의 컴퓨터 인증을 받는 경우 볼륨 라이센스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라이센스 종류에 따라 사용 조건이 다르므로, 사용하려는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를 일회성으로 구매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입니다. 마치 책 카지노 추천 사이트 한 권을 사서 소유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픈소스 라이선스는 누구나 소스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라이선스 조건에 따라 상용으로의 사용에 제한을 두거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그냥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발사가 정해 놓은 약관과 규정에 따라 ‘사용 권한’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라이선스의 종류에 따라 사용 방식과 비용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라이선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선택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우리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종류를 살펴보았습니다. 영구 라이선스부터 구독, 사용자, 장치, 사이트, 볼륨, 그리고 오픈 소스 라이선스까지, 각자의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현명한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한 첫걸음입니다.